Contents

조회 수 571 댓글 0
Atachment
첨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By JONAH LEHRER

Getty Images
 

부모의 결정은 얼마나 중요할까? 대부분의 부모들은 어떤 탁아소에 아이를 맡길지부터 몇시간 동안 비디오 게임을 하도록 허락해야할지에 이르기까지 가장 소소한 부모의 선택조차 아이의 성공에 깊은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한다. 아이를 점토로, 부모를 조각가로 여기는 관점이다.

그러나 지능부터 자제심까지 다양한 특성을 측정한 실험에서, 가정환경이 인간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전자와 태생적 사회집단의 영향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런 결과를 봤을때, 부모가 조각가인 것은 사실이지만 점토가 처음부터 어느 정도 형태를 갖추고 있다고 생각해 볼 수도 있다.

새로운 연구 결과는 앞서 언급한 두가지 비유가 모두 사실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가족의 경제력이 아이들의 성공에 영향을 끼친다는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심리과학 학술지에 게재된 텍사스 대학교와 버지니아 대학교의 공동연구에서, 연구진은 750쌍의 미국인 쌍둥이의 지능을 태어난지 10개월, 2살 무렵에 각각 조사했다. 일란성 쌍둥이와 이란성 쌍둥이간 행동양식을 분석한 연구에서 연구진은 유전적인 요인과 가정환경이 아이들에게 상대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사회경제학적 측면에 걸쳐 가정이 영아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부’의 정도가 연구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10개월 된 영아의 지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모든 사회경제학적 계층을 막론하고, 가정환경이 가장 주요한 요인이었다. 그러나 2살난 유아들을 대상으로 살펴본 결과는 놀라울만큼 달랐다. 상대적으로 저소득층인 가정의 아이들의 경우 두살이 되어서도 가정환경이 지능에 계속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유한 가정의 2살난 아이들에게서는 정반대의 패턴이 나타났다.

지능차이 결정요소에서 유전적인 요인이 50% 이상을 차지한 것이다. (연구원들은 이란성 쌍둥이에 비해 일란성 쌍둥이가 더욱 유사한 행동을 보인다는 사실을 기반으로 결론을 내렸다.) 부유한 가정의 경우, 가정환경 요인이 미치는 영향은 1위인 유전적 요인과는 큰 차이를 나타내며 2위에 머물렀다. 부모에게 있어서 이런 상관관계가 나타내는 바는 명료하다: 부유해 질수록, 아이들의 지적능력을 형성시키는데 부모의 역할이 미치는 영향은 적다는 것이다.

부유한 가정의 아이들은 음악 수업을 듣는 것부터 대입 개인과외를 하는 것까지 금전적으로 할 수 있는 모든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부모들은 어쩌면 사소한 문제- 예를 들어 피아노와 바이올린 중 어떤 것이 더 좋을까?-에 안달할지도 모르지만 이런 사소한 일들은 그다지 큰 의미가 없다. 과학 블로그를 운영하는 라지브 칸은 “환경적 차이를 없애고 나면, 유전적 차이만 남을 뿐이다”고 말한다.

태어나면서부터 깜짝 놀랄만한 불균형이 시작된다는 뜻이다. 2살난 아이의 지적 능력도 부모의 사회경제학적 계층에 상당한 영향을 받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유전적 잠재력은 억제된다.

최근의 연구는 계층간의 차이를 야기하는 원인에 대해서는 심도있게 고찰하고 있지는 않으나 앞선 연구는 아이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단어와 가정 내에 보유한 책의 수, 격려와 꾸중의 비율 등의 요소들에 중점을 두고 진행됐었다. 부유한 가정에서 자라는 3살까지의 아이들은 평균 500,000번의 격려와 80,000번의 꾸지람을 듣는다. 저소득층에서는 이 결과가 반대로 나타난다.

많은 연구원들은 이러한 통계를 바탕으로 빈곤한 가정 아이들의 성장기 환경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시카고 대학교 교수이자 노벨수상자인 제임스 헤크먼은 유치원 아동들을 위한 교육에 대한 투자를 늘려야한다고 오랫동안 주장했다. 최근의 연구 결과는 유아교육이 이보다 빨리 시작되야한다고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봤을때 할렘 칠드런스 존에서 운영하는 “베이비 칼리지”가 바람직한 모델로 제시된다. 베이비 칼리지는 부모에게 더 나은 육아 방법을 교육시키는 기관이다.

어린 시절의 환경적 불평등을 제거하는 것은 유전적인 요인이 초래하는 새로운 형태의 불평등을 야기할 수도 있지만, 최소한 아이들로 하여금 자신의 지적 잠재력에 한발 더 다가가고 실수나 부모의 빈곤때문에 위축되지 않도록 독려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아이들에게 줄 수 있는 가장 큰 풍요로움은 어떤 부모를 만났느냐 하는 배경에서 자유롭게 해 주는 것이다.

이 기사의 영어원문 보기

[출처] http://www.wsj.com/articles/BL-229B-1910


?